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다양한 인격 장애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 심리학

by 힙한 병아리 2025. 1. 1.
반응형

 

1. 타인을 적으로 생각하는 '망상성 인격장애'

'망상성 인격장애'는 남을 시기하고 의심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동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자신 외의 다른 사람들은 모두 적이라고 생각하고 주위 사람이 살짝만 웃어도 자신을 욕하는 건 아닌지 의심한다. 그래서 이런 인격장애를 겪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솔직히 털어놓지 못한다. 그 비밀을 이용해 다른 사람이 자신을 악용할까 걱정하기 때문이다. 또 망상성 인격장애들은 연애를 할때나 결혼 생활에서도 문제가 나타난다. 아내가 외출을 나갔다 돌아오면 다른 남자를 만나고 들어온 것은 아닐까 의심해 가방을 뒤지거나 휴대폰 내역을 확인한다. 심리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데 치료의 핵심은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다.

 

2. 극도로 실패를 두려워하는 '회피성 인격장애'

회피성 인격장애인 사람은 어떤 일에도 소극적이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주장하거나 새로운  일에 도전하려고 하지 않는다. 자신감이 없고 타인의 시선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커서 새로운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만드는 것도 어렵다.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있어도 먼저 다가가는 일이 없다. 이런 회피성 인격장애의 대표적인 원인은 부모의 지나친 간섭을 꼽는다. 어렸을 때부터 자식 일에 대해 하나 하나 간섭하고 지배적으로 자랐던 아이는 스스로 결정해야 되는 일까지 부모에게 맡겨 버리는 경향이 강하다. 어릴 적 실패를 경험할 때 부모에게 시키는대로 안해 실망이라는 말을 들으며 자란 아이는 스스로 능력이 없고 자신은 되는 일이 없는 인간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훗날 이 아이는 차라리 도전하지 않는 것이 더 낫다며 매사 회피해 버리는 것이다.

 

3. 완벽함에 집착하는 '자기애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과도한 집착,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 그리고 과도한 칭찬과 인정에 대한 욕구가 특징이다. 

자신에 대한 애착이 강해 보이지만 사실은 자신을 좋아하기 어려워하며 스스로 괴로워하는 일이 많다. 자존감을 일부러 높여 나약하고 불안한 자신을 지키려고 한다. 어떤 일이든 승패를 갈라놓는 오늘날의 경쟁사회가 이런 삐뚤어진 성격을 만들어 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을 100% 완벽하기를 바라고 있는 그래도의 자신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누구나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지만 그 단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어쩌면 노력하고 개선해 가자는 의식이 없다. 성과를 우선으로 하고 경쟁이 치열한 오늘날 이런 인물이 어느정도 사회적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하지만 자기애성 인격장애 사람은 어떤 일로 실패를 경험하면 극단적으로 우울해하거나 심각하면 사회생활도 적응을 하지 못한다.

 

 

4. 극단적 자기상을 보여 주는 '경계성 인격장애'

인격장애 중 최근 많이 늘어나고 있는 유형인 '경계성 인격장애'는 3분의 1이 여성에게 나타난다. 특히 20~30대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고 감정 기복이 심해 불안감을 느끼면 급격히 예민해져 다른 사람과 시비나 다툼에 휘말려 나쁜 인상을 남기기도 한다. 또 심하면 자해,과식, 구토,약물 중독 등 문제를 일으키는 행동을 많이 한다. 그들 중 일부는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버려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어 좋은 아이가 될려고 애쓰며 자랐다. 늘 불안을 가지고 살던 그들은 어른이 되면서 갈등을 겪으며 그 불안이 살아나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것이다. 극복할 수있는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인간관계를 구축함으로써 호전시킬 수 있다.

 

5. 자신을 꾸며 거짓을 말하는 '연극성 인격장애'

어린아이가 금방 들통이 날 거짓말을 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을것이다. 보통 주변의 관심을 받고 싶어 하는 행동이다.

어린 시절하는 귀엽게 맞장구쳐 주면 되지만 어른의 거짓말은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어른이 거짓말을 한다면 의도적으로 어떤 목적이 있거나 사기일 수 있다. 그중 어떤 거물급 정치가와 친하다든가 대기업 임원과 연줄이 있다는 등 말을 하며 투자를 유도하는 경우가 있다. 그중에는  거짓으로 사람을 속인다는 자각심조차 없는 사람도 있고 가짜 경력을 자기 것처럼 믿고 있는 사람도 있는데 이런 경우 연극성 인격장애일 확률이 높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특징은 눈에 띄는 행동을 좋아하는 것이다. 평소에도 사람들에게 주목을 못 받으면 마음이 불편하다.

 

 

6. 걱정을 반복하는 '강박성 인격장애'

사람들은 보통 외출하기 전 방에 불은 껐는지 문을 잘 잠갔는 지, 가스불은 잠갔는지 등 확인을 한다. 하지만 강박성 인격장애를 겪는 사람은 몇번을 반복해서 확인하고 창문 확인까지 해야 마음이 놓이는 사람들이다. 그러다 불안함에 외출을 포기하는 사람은 강박성 인격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불을 끄고 문을 잠그는 등의 '확인 공포' 손 씻기를 반복하고 청결에 예민하게 청소를 반복하는 '불결 공포' 등이 있다. 

 

 

 

 

 

 

 

 

 

반응형